Springboot
-
서론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요청을 받아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고 응답하는 과정에는 여러 기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. 그중에서도 자바 기반의 웹 개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(Servlet)과 이를 실행하는 톰캣(Tomcat)이다.정의서블릿 (Servlet)개념: 서블릿은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가 아닌, 웹 서버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)와 같은 서버 측 환경에서 실행되는 자바 클래스이다.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버에서 해당 서블릿 코드가 동작하여 결과를 생성한 후,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.역할: 주로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프로토콜 기반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데 최적화=> 이는 javax.servle..
[Spring] 서블릿과 톰캣의 내부 구조서론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요청을 받아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고 응답하는 과정에는 여러 기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. 그중에서도 자바 기반의 웹 개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(Servlet)과 이를 실행하는 톰캣(Tomcat)이다.정의서블릿 (Servlet)개념: 서블릿은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가 아닌, 웹 서버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)와 같은 서버 측 환경에서 실행되는 자바 클래스이다.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버에서 해당 서블릿 코드가 동작하여 결과를 생성한 후,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.역할: 주로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프로토콜 기반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데 최적화=> 이는 javax.servle..
2025.05.17 -
서론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작성하는 단 한 줄의 코드, SpringApplication.run(MyApplication.class, args)에는 사실 복잡하고 체계적인 과정들이 숨겨져 있다. 이 글에서는 이 한 줄의 코드가 어떻게 완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본다.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출력된다: . ____ _ __ _ _ /\\ / ___'_ __ _ _(_)_ __ __ _ \ \ \ \( ( )\___ | '_ | '_| | '_ \/ _` | \ \ \ \ \\/ ___)| |_)| | | | | || (_| | ) ) ) ) ' |____| .__|_| |_|_|..
[Springboot] Springboot의 내부 작동 원리(With Log)서론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작성하는 단 한 줄의 코드, SpringApplication.run(MyApplication.class, args)에는 사실 복잡하고 체계적인 과정들이 숨겨져 있다. 이 글에서는 이 한 줄의 코드가 어떻게 완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본다.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출력된다: . ____ _ __ _ _ /\\ / ___'_ __ _ _(_)_ __ __ _ \ \ \ \( ( )\___ | '_ | '_| | '_ \/ _` | \ \ \ \ \\/ ___)| |_)| | | | | || (_| | ) ) ) ) ' |____| .__|_| |_|_|..
2025.05.17 -
서론나는 백엔드를 하나도 모른다. 이제 막 사람답게 살려고 시작했고, 오늘이 첫날이다. 그래서 처음에는 백앤드가 뭔지부터 알고 시작하기 위해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. 사실 내용도 맞는지 잘 모른다.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데 난 설익어서 빳빳하게 글을 올린 것이다. 백엔드?백엔드가 뭔지 딱 정하기가 어려워 보여서 프론트엔드와의 차이점을 보고 생각했다.프론트엔드는 이제 해당 블로그를 예시로 들었을 때, 현재 이용자가 눈으로 보고 있는 모든 요소들이 프론트다.깔끔한 UI와 무언가 써져 있는 텍스트, 그림들까지 눈에 보이는 건 다 프론트다. 백엔드는 이러한 시각적 요소에 뒷받침되는 데이터를 주는 파트다. 사이드에 있는 카테고리나 포스팅된 글, 거기에 있는 그림들은 이용자의 PC에 저장된 것이 아닐 것이다..
백엔드를 시작하며...서론나는 백엔드를 하나도 모른다. 이제 막 사람답게 살려고 시작했고, 오늘이 첫날이다. 그래서 처음에는 백앤드가 뭔지부터 알고 시작하기 위해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. 사실 내용도 맞는지 잘 모른다.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데 난 설익어서 빳빳하게 글을 올린 것이다. 백엔드?백엔드가 뭔지 딱 정하기가 어려워 보여서 프론트엔드와의 차이점을 보고 생각했다.프론트엔드는 이제 해당 블로그를 예시로 들었을 때, 현재 이용자가 눈으로 보고 있는 모든 요소들이 프론트다.깔끔한 UI와 무언가 써져 있는 텍스트, 그림들까지 눈에 보이는 건 다 프론트다. 백엔드는 이러한 시각적 요소에 뒷받침되는 데이터를 주는 파트다. 사이드에 있는 카테고리나 포스팅된 글, 거기에 있는 그림들은 이용자의 PC에 저장된 것이 아닐 것이다..
2024.07.08